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튜브, 블로그, 외교부, 주한베트남 영사관, 외국 비자 업체 등등 인터넷을 쥐잡듯이 뒤집니다.
누구는 된다, 누구는 안된다. 말이 많고 혼란스럽습니다. 게다가 여행자의 불안을 이용한 사기 업체까지 중간에서 일을 더 어렵게 만듭니다.
하지만, 정보가 모이면 패턴이 보이는 법입니다.
긴급 여권으로 입국 성공 경험담은 있다.
긴급 여권으로 입국 실패 경험담은 없고, 비자나 기타 서류가 필요하다는 '말만' 있다.
항공사마다 정책이 다른데 베트남 항공은 긴급 여권으로 체크인을 해주고 비엣젯은 뭘 더 요구한다.
베트남 외교부 공식 비자 대행업체 직원에게 물어보니 "비자 필요 없고, 긴급여권으로 입국됨"이라고 한다 (해당 업체 홈페이지에서 chat으로 확인)
그럼, 이 혼란은 도대체 왜 생기는걸까?
공식적으로 베트남을 긴급 여권을 이용해 ‘여행’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명시 되어있다.
하지만, 이는 갱신되지 않는 서류상 ‘명시’일 뿐이지 사실은 입국이 가능하다는 것을 항공사는 알고 있다.
그렇다고, 고객을 그냥 보냈다가 제수 없게 출입국에서 걸리면 손해배상의 책임이 발생한다.
그래서, 베트남 저가 항공사인 비엣젯은 면책을 위해 고객에게 비자를 받아오거나 긴급 여권 + 서약서를 요구한다.
이용자 입장에서 400$이상의 비자를 받거나 책임지지 않는다는 서약서에 서명을 하려니 엄청 쫄린다.
내 비행기는 이미 날아가서 다시 예약해야 되고, 비자를 받자니 비행기 값보다 비싸고 (약 450$), 긴급 여권으로 가자니 보장하지 않는다고 하고... -> 포기하면 편해진다.
- 결론 (성공) -
대략적인 상황파악이 되니, 자신감이 생깁니다.
아까 미뤄두었던 항공권 교체 비용을 결제하고, 다시 두근거리는 마음과 함께 여행을 기대합니다.
떠나기 전부터 돈은 왕창썻지만, 어떠합니다. 이것도 여행이고 경험인데..
결국 저와 일행은 원래 예정보다 7시간 늦은 비행기를 타고 날아가 잘 놀고 돌아왔습니다.
- 추가 정보 -
긴급 여권이 아니라 비자를 받고자 하신다면 많이 조심하셔야 합니다. 가짜 비자를 발급해 주는 경우도 있고, 여권 유효기간에 따라 비자가 소용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상비자라도 빨리 받는 비용은 무조건 400$ 이상이니 비용적인 것도 고려하셔야 합니다.
간혹, 비자 대행 업체에서 제가 적은 사실들을 동일하게 말해주면서 "불안하면 사람을 보내주겠다"고 하며 비용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고 신청하면 입국과 전혀 상관없는 공항의 패스트트랙 서비스를 제공해 줍니다 (입국심사를 빨리 해주는). 저는 이게 잘 못되었다고 생각은 안하는데, 사람에 따라서 불안을 조금이라도 해소할 수 있거나, 언어나 상황 컨트롤이 안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패스트트랙을 신청하면 직원이 에스코트해서 빠른 입국심사를 도와주니, 심적으로 훨씬 나을거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문제는 비용인데요. 패스트트랙은 저렴하면 2.5~3만원 정도이고, 비싸도 5만원입니다. 특정 업체의 경우 불안을 이용해 200~500$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반드시 조심하시기 바랍니다.